본거329 란제리 소녀시대 제 목 | 란제리 소녀시대저 자 | 김용희출 판 사 | 생각의 나무독서일시 | 2015.02.02 ~ 2015.02.05 2009년판 '응답하라 1994'라고나 할까...80년대 초반 고등학교 시절의 추억을 떠올리게 하는 소설이다.80년이면 내가 국민학교 입학할 당시였으니 바로 손위 형이나 누나 세대의 얘기인 샘이다.그래도 어렵게 살기는 마찬가지였던때라 나도 공감이 가는 상황이 많았다.특히나 대입을 앞둔 자존심 강한 여고생의 눈으로 바라본 세계는 감상적이다가도 편타적이고 만만하다가도 무섭게 비춰진다.초중반까지는 그저 학생들의 이성간 호감에 대한 이야기와 도시에서 새로 전학온 아이에 대한 이야기, 공장에서 힘들게 일하면서도 고향에 꼬박꼬박 생활비 부치는 이야기의 소소한 서민적인 재미를 풀어간다.그러다 후반.. 2015. 2. 5. 코카콜라는 어떻게 산타에게 빨간 옷을 입혔는가 제 목 | 코카콜라는 어떻게 산타에게 빨간 옷을 입혔는가저 자 | 김병도출 판 사 | 21세기북스독서일시 | 2015.01.22 ~ 2015.02.02 '코카콜라는 어떻게 산타에게 빨간 옷을 입혔는가'도시에 살때 마케팅관련 부서에서 일을 했었는데 회사에서 접해본 실무참고 서적이나 강의를 통해 한번 쯤은 들어봤을 내용이다.그만큼 대표적인 마케팅 성공사례라고 할 수 있다.책의 전체 디자인도 붉은색 단색으로 처리하여 제목에 더욱 빠져들게 만든다.시골에 귀농해 여유시간에 책을 많이 읽어왔지만 도시에서 회사생활 할때나 읽어봤을만한 마케팅 서적은 굉장히 오랜만인거 같다.사실 요즘은 시골도 농사만 지어서는 먹고살기가 힘들다.땀흘러 생산한 농산물은 도매를 통해 박한 이익만을 취할 수 있기때문이다.그러기에 농촌기술센터 .. 2015. 2. 2. 로스트 랜드: 공룡 왕국 / Land of the Lost 완전히 농락당했다!워낙에 유치하게 웃긴 영화를 좋아하는데 마침 공룡이 등장하는 유치하게 웃긴영화라고 해서 두말없이 시청했다.처음 얼마동안은 코드가 맞는듯하게 유치한 개그가 재밌었는데 이게 진행이 되면 될수록 너무나 뻔하고 삼류도 아니고 10류는 될듯 해도해도 너무하게 유치한 것이다.너무 뻔뻔하게 유치해서 감히 꺼버릴 생각도 못하고 끝까지 보고야 말았다.감상평을 요즘말로 한마디로 표현하자면 정말 '병맛'이다. -0-다만 너무 뻔뻔하게 유치해서 오히려 감독에게 박수를 보내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왕녀의 주성치감독의 영화를 무지 좋아했다.뻔뻔하게 웃기지만 그게 너무하다싶지도 않게 적당하게 황당한 웃음을 선사했는데 이 영화는 다른 의미에서 황당하다.스포랄 것도 없긴하지만 너무 뻔뻔한 스토리를 뭐라 평하기도 힘드니.. 2015. 2. 1. 민족주의는 죄악인가 제 목 | 민족주의는 죄악인가저 자 | 권혁범출 판 사 | 아로파독서일시 | 2015.01.22 ~ 2015.01.25 우리나라 만큼이나 민족이라는 말에 단합되는 나라는 드물것이다.반만년의 세월을 한민족을 유지하며 지금껏 살아왔다는 자부심은 대한민국 국민 누구에게나 있다.한민족이라는 말은 그 자체로 진리처럼 뇌리속에 박혀있는 사상인데 우연히 읽게 된 이 책에 의해 민족이라는 개념에 많이 생각하게 되었다.사실 가볍게 읽을 수 있는 책은 아니다.민족이라는 개념에 대해 읽어볼만한 책이거니 싶어 아무 생각없이 대출해서 몇장 넘기면 넘길수록 딱딱한 내용에 도저히 끝까지 읽기가 힘들겠다 싶었지만 그래도 왜 이리 진리로 알고있는 민족에 대해 '죄악'인가아닌가 라는 말을 써야되나 싶은 호기심에 지루함을 꾹 눌러서 참고.. 2015. 1. 25. 에디톨로지 제 목 | 에디톨로지저 자 | 김정운출 판 사 | 21세기북스독서일시 | 2015.01.12 ~ 2015.01.22 Editology, 편집학.저자인 김정운 교수에 의해 만들어진 신조어이지만 만사가 그렇듯 무에서 유를 창조한 것은 아니고 기존의 여러가지 현상이나 개념을 하나의 단어로 '정리'한 것이다.편집이라는 것은 지극히 주관적인데서 시작한다.무엇인가 있는 존재를 재고 잘라붙여 개성에 따라 구성하는 것이기 때문이다.그런 개념을 문화나 역사, 심리학 등에 적용해 풀어낸 것이 책의 주요 골자이다.그리고 그러한 편집을 통해 보여지는 것은 역으로 편집자의 힘과 권력이 된다.그것이 개인이라면 예술인이나 방송국PD등 전문적인 창조자의 역할이 되는 것이고 그것이 단체의 장이라면 바로 권력이 되는 것이다. 자신의 뜻.. 2015. 1. 22. 충청도의 힘 제 목 | 충청도의 힘저 자 | 남덕현출 판 사 | 양철북독서일시 | 2015.01.09 ~ 2015.01.12 작년에 이어 올해도 '귀농인 마실가는 날'이라는 프로그램에 등록해 문집을 내기 위한 에세이를 작성하고 있다.마을회관에서 들었던 어르신들의 마을 옛이야기들 녹취한 것을 바탕으로 재구성해 글을 한편 썼는데 너무 보고서 같다며 참고서적으로 추천받은게 바로 이 책이다.작년 프로그램 중에도 이 책을 잠깐 보기는 했는데 그냥 재밌는 책이라는 인상만 받고 잊고있다가 마침 이번 기회에 읽어보자 마음먹고 도서관에서 대출을 해왔다.작가의 말을 빌자면 '충청도의 힘은 거기서 거기에 불과한 사소한 일상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이다.하지만 누구나의 인생은 모두 하루하루의 별것아닌 일상들의 연속이기에 가만히 들여다.. 2015. 1. 12. 이전 1 ··· 18 19 20 21 22 23 24 ··· 55 다음